Suggest Problem 함께 해결해야 할 지역의 문제를 제안해주세요! arrow_right제안하러가기

skin/list
    Home 완료의제 2019

대학의 공간공유

여러분 대부분은 약 8세부터 19세까지 평일 대부분을 쭉 학교에서 생활했을 겁니다.

대학입시를 앞둔 고등학생 시절에는 방학이 시작되더라도 학교에서 보충수업을 받았겠죠.

밤낮을 가리지 않고 학교에 있다 보니 한번쯤은 이런 생각을 해보았을 겁니다.

 

, 학교 그만두고 그냥 놀고 싶다!’

 

그런데 과연 학교를 그만 두면 학기 중이던 방학 중이던 자유롭게 놀 수 있을까요?

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, 일명 학교 밖 청소년에게 현실은 자유롭게 노는 것조차 쉽지 않았습니다.

 

WHAT

- 우리가 해결할 지역 문제가 무엇인가요?

 

학교 너머대구 단체 소속의 이준기 씨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해 누구보다 관심이 많으신 분입니다.

어느 여름날, 주말도 아닌 평일에 닫혀 있는 청소년 센터를 보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답니다.

 

어라, 왜 문이 닫혀 있지?’

 

왜 문이 닫혀 있었을까요?

바로 방학 기간이었기 때문입니다.

이런 상황으로 인해 학교 밖 청소년은 방학 기간에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히 적어집니다.

 

그럼 방학 중에 센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을까?’

 

거기서 이준기 씨는 시작했습니다.

 

 

HOW

- 이러한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할 수 있나요?

 

공간을 찾아보고, 이런저런 얘기도 나누어보니 생각할 것이 많아졌습니다.

먼저, 청소년 시설을 이용하는 것 자체에 아직까지 사람들의 부정적인 시선이 존재한다는 겁니다.

그리고 시설에 가게 되면 항상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따랐습니다.

정작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획일화된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오고 싶을 때 오고 가고 싶을 때 가는, 그런 쉼터가 필요했는데 말이죠.

 

게다가 기존 시설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지도가 저조한 상태였습니다.

이렇다보니 프로그램의 질이 아무리 좋아도 시설 이용률은 상당히 낮았답니다.

 

그래서 공간이용허가, 인식, 청소년들의 흥미, 인지도 등을 따져보니 한 군데가 도출되었습니다.

방학동안 항상 공간이 비어있고, 청소년이 거길 가더라도 부정적인 시선이 따라오지 않으며,

청소년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고, 인지도 또한 높은 곳.

 

바로 대학이었습니다.

 

대학이 그저 현 교육시스템의 최종단계를 밟는 교육의 장으로만 인식되고 있지만, 대학이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사례는 상당히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.

일본은 대학의 지역공헌의무를 관련법에 명시되어 있기도 하구요.

 

그렇기에 대학과 학교 밖 청소년의 만남은 상당히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었습니다.

 

지속적인 논의를 거치면서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기 시작했습니다.

크게 여가 프로그램, 진로탐색 프로그램, 학습지원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요를 최대한 충족시키기로 했습니다.

 

먼저 여가 프로그램은 상하반기 대학 문화 탐방과 대학생과 함께하는 대학투어로, 학교 밖 청소년들이 부담스럽지 않으면서도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했습니다.

 

또한 학교 밖 청소년들은 진로탐색에 대한 욕구가 상당히 컸는데요.

2018년 기준, 여성가족부의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에 따르면, 무려 학교 밖 청소년 75.5%가 학업·진로탐색에 관심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실태조사에 발맞추어 나머지 프로그램을 대학 전공 탐방, 진로상담 등의 진로탐색 프로그램과 검정고시 지원, 수학능력시험 지원 등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제시되었습니다.

 

 

GOAL

- 우리가 만들 변화에 대하여 설명해주세요.

 

본 의제 실행을 통해, 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업중단 후 겪고 있는 어려움의 대부분을 해소할 수 있을거라 기대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(2018, 여성가족부 제공)

 

다양한 프로그램을 활동하면서, 결여되어 있었던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소속감이 증대될 것이며, 불안했던 정서가 어느정도 회복될 수 있을 겁니다.

 

 

또한 진로를 찾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에게 비전을 수립하고 어쩌면 진로를 찾게 될 수도 있겠지요.

물론 이준기 씨가 처음에 품고 있던 의문들도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.

방학이 되면 갈 곳이 없던 학교 밖 청소년들은 더 이상 어디서 시간을 보내야 할지 고민할 필요가 없지요.

 

대학의 측면에서도 대학이라는 공간 자체가 대학생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, 지역민 자체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 것이며,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지 않을까요?

 

 

 

이렇게 아이디어 구체화까지 마무리했지만, 안타깝게도 본 의제는 논의 선에서 마무리되어야 했습니다.

대학의 유휴공간을 학교 밖 청소년에게 제공한다는 아이디어는 상당히 신선했지만,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대학의 협조가 필요했습니다.

아무리 방학이라 하더라도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는 열린 공간이 아닌, 대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는 폐쇄된 공간이니만큼 본 의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어려웠을 거라 생각합니다.

 

그러나 프로그램 자체는 상당히 뛰어났기에, 다음 해인 2020,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지원 의제를 실행하게 됩니다.

 

이렇게 비록 직접 실행으로 이어지지 못한 의제들도 많습니다.

 

하지만 플랫폼은 거기에 그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실행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좀 더 리모델링하여 결국 실행으로 이어지기 위해 항상 생각하고 있습니다.